파가야(PGY) 분기 별 실적 분석

파가야 (PGY) 실적 완벽 분석

파가야는 투자할만한 회사인가?

📅 2025년 8월 분석 | 💰 나스닥: PGY | 🏷️ 핀테크, AI, 대출플랫폼

🔍 서론: 왜 지금 Pagaya Technologies인가?

최근 핀테크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업 중 하나가 바로 파가야 테크놀로지입니다. AI 기반 대출 플랫폼을 운영하는 이 회사는 2025년 들어 놀라운 실적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장 이후 지속적인 손실을 기록했던 Pagaya가 드디어 수익성 전환에 성공했고, 연속 2분기 GAAP 기준 흑자를 달성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과연 이 회사의 진짜 실력은 어느 정도일까요?

💡 핵심 포인트
• 2025년 Q1부터 상장 후 최초 GAAP 흑자 달성
• AI 기반 대출 언더라이팅으로 차별화된 경쟁력 보유
• 연간 30% 매출 성장률과 마진 개선 동시 달성
• 미국 개인대출 ABS 발행 1위 기업
• 부채비율 175.6%로 상승하여 모니터링 필요

파가야 상세 재무제표 분석

핵심 성과 지표

30%
매출 성장률 (YoY)
Q2 2025 기준
$17M
Q2 2025 순이익
+$91M YoY
72%
EBITDA 증가율
Q2 2025 YoY
4.8%
FRLPC 마진
지속 개선

매출액 (Revenue) 상세 분석

구분 Q4 2023 Q4 2024 YoY 성장률 2023년 2024년 YoY 성장률
수수료 매출 (USD) $210.4M $275.7M +31.0% $772.8M $1,004.6M +30.0%
수수료 매출 (KRW) 2,840억원 3,722억원 +31.0% 1조 433억원 1조 356억원 +30.0%
총 매출 (USD) $218.0M $279.4M +28.2% $812.1M $1,032.2M +27.1%
총 매출 (KRW) 2,943억원 3,772억원 +28.2% 1조 963억원 1조 394억원 +27.1%

📈 2025년 최신 실적

구분 Q1 2025 Q2 2025 분기 성장률
총 매출 (USD) ~$290M $326M +12.4%
총 매출 (KRW) 약 3,915억원 4,401억원 +12.4%

영업이익 (Operating Income) 상세 분석

구분 Q4 2023 Q4 2024 YoY 증감 2023년 2024년 YoY 증감
영업이익 (USD) $10.7M $31.7M +198% $(24.4)M $66.8M 흑자전환
영업이익 (KRW) 144억원 428억원 +198% (329억원) 902억원 흑자전환
영업이익률 4.9% 11.4% +650bp -3.0% 6.5% +950bp

순이익 (Net Income) 상세 분석

구분 Q4 2023 Q4 2024 YoY 증감 2023년 2024년 YoY 증감
순손익 (USD) $(14.4)M $(237.9)M 악화 $(128.4)M $(401.4)M 악화
순손익 (KRW) (194억원) (3,212억원) 악화 (1,734억원) (5,419억원) 악화
⚠️ 주의: 2024년 순손실 확대는 투자 포트폴리오 공정가치 조정($156M) 등 비현금 항목이 주요 원인

🎉 2025년 순이익 전환 (GAAP 기준)

구분 Q1 2025 Q2 2025 분기 성장률
순이익 (USD) $8M $17M +112.5%
순이익 (KRW) 108억원 229억원 +112.5%
순이익률 2.8% 5.2% +240bp

FRLPC (Fee Revenue Less Production Costs) 마진 분석

구분 Q4 2023 Q4 2024 개선폭 2023년 2024년 개선폭
FRLPC (USD) $75.9M $117.5M +54.7% $263.9M $406.9M +54.2%
FRLPC (KRW) 1,025억원 1,586억원 +54.7% 3,563억원 5,493억원 +54.2%
FRLPC 마진 3.2% 4.5% +130bp 3.2% 4.2% +100bp

조정 EBITDA 상세 분석

구분 Q4 2023 Q4 2024 YoY 성장률 2023년 2024년 YoY 성장률
조정 EBITDA (USD) $34.2M $64.2M +87.7% $82.0M $210.4M +156.6%
조정 EBITDA (KRW) 462억원 867억원 +87.7% 1,107억원 2,840억원 +156.6%
EBITDA 마진 15.7% 23.0% +730bp 10.1% 20.4% +1,030bp

2025년 EBITDA (최신)

구분 Q2 2025 전년동기 대비
조정 EBITDA (USD) $86M +72% YoY
조정 EBITDA (KRW) 1,161억원 +72% YoY
EBITDA 마진 26.4% +530bp YoY

재무상태표 상세 분석

자산 구성 (2024년 12월 31일 기준)

구분 2023년 2024년 YoY 증감
총 자산 (USD) $1,208.4M $1,291.1M +6.8%
총 자산 (KRW) 1조 631억원 1조 743억원 +6.8%
현금성 자산 (USD) $222.5M $226.5M +1.8%
현금성 자산 (KRW) 3,004억원 3,058억원 +1.8%
대출투자 (USD) $716.8M $764.1M +6.6%
대출투자 (KRW) 9,677억원 1조 315억원 +6.6%

⚖️ 부채 및 자본 구조

구분 2023년 2024년 YoY 증감
총 부채 (USD) $468.4M $775.3M +65.5%
총 부채 (KRW) 6,324억원 1조 467억원 +65.5%
자기자본 (USD) $665.7M $441.5M -33.7%
자기자본 (KRW) 8,987억원 5,960억원 -33.7%

부채비율 상세 분석

지표 2023년 2024년 변화
부채비율 (부채/자본) 70.4% 175.6% +105.2%p
부채비율 (부채/자산) 38.8% 60.1% +21.3%p
자기자본비율 55.1% 34.2% -20.9%p
⚠️ 주의: 부채 증가는 사업 확장을 위한 ABS 발행 및 차입 확대에 기인

주요 재무비율 종합

수익성 비율

지표 2023년 2024년 Q2 2025 개선도
매출총이익률 34.1% 40.5% 45.2% 크게 개선
영업이익률 -3.0% 6.5% 8.5% 흑자전환
순이익률 -15.8% -38.9% 5.2% 2025년 흑자
ROE -19.3% -90.9% 15.4% 2025년 양호

성장성 비율

지표 2024년 성장률 Q2 2025 성장률
매출 성장률 +27.1% +30% (YoY)
영업이익 성장률 흑자전환 지속 개선
EBITDA 성장률 +156.6% +72% (YoY)

안정성 비율

지표 2023년 2024년 평가
유동비율 405.0% 179.8% 양호
당좌비율 395.8% 172.8% 양호
현금비율 297.0% 115.9% 적정

2025년 가이던스 및 전망

통년 2025년 예상 실적

지표 가이던스 범위 (USD) 가이던스 범위 (KRW) 전년 대비
네트워크 볼륨 $10.5-11.5B 14.2-15.5조원 +8-18%
총 매출 $1.25-1.325B 1.69-1.79조원 +21-28%
조정 EBITDA $265-315M 3,578-4,253억원 +26-50%
GAAP 순이익 $(10)-40M (135)-540억원 흑자전환

📈 수익성 전환의 핵심 동력

1. FRLPC 마진 개선
Fee Revenue Less Production Costs 마진이 3.2%에서 4.8%로 대폭 상승했습니다. 이는 AI 기반 언더라이팅 시스템의 정확도 향상과 고수익 상품 비중 확대에 기인합니다.2. 운영 레버리지 실현
핵심 운영비용이 FRLPC 대비 49% 수준으로 감소하여 규모의 경제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3. 다각화된 펀딩 전략
ABS, 기관투자자, 회사채 등 다양한 자금조달로 자금 비용을 최적화했습니다.

 

⚖️ 투자 관점에서의 장단점 분석

🟢 투자 매력 포인트

  • 수익성 전환 완료: 연속 2분기 GAAP 흑자
  • AI 기술 우위: 차별화된 언더라이팅 플랫폼
  • 시장 선도 지위: 미국 개인대출 ABS 발행 1위
  • 높은 성장률: 연간 25-30% 매출 성장
  • 마진 개선: EBITDA 마진 25% 수준 달성
  • 다각화된 펀딩: 안정적 자금조달 구조

🔴 투자 리스크 요소

  • 부채비율 상승: 175.6%로 증가
  • 금리 민감성: 연준 정책에 따른 영향
  • 신용 리스크: 경기침체 시 대출 부실 우려
  • 경쟁 심화: 기존 금융기관의 AI 도입
  • 규제 리스크: 금융규제 강화 가능성
  • 변동성: 성장주 특성상 주가 변동성

 

투자 의견 및 전망

💎 최종 투자 의견

Pagaya Technologies는 AI 기반 핀테크 업계에서 수익성 전환에 성공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입니다. 2025년 연속 흑자 달성과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바탕으로 장기적 투자 가치가 매우 높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AI 기반 언더라이팅 플랫폼의 차별화된 경쟁력과 다각화된 펀딩 전략은 향후 지속 가능한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부채비율 상승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투자 시 고려사항

🕐 투자 타이밍: 현재 수익성 전환 초기 단계로 중장기 투자 관점에서 매력적
💰 투자 비중: 포트폴리오의 3-5% 수준으로 적정 분산 투자 권장
⏰ 모니터링 포인트: 분기별 FRLPC 마진, 부채비율, 네트워크 볼륨 성장률
🎯 목표 수익률: 향후 2-3년간 연평균 25-35% 수익률 기대

면책조항: 본 분석은 공개된 재무정보를 바탕으로 한 개인적 의견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분석 보고서가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해주세요! 🚀


코멘트

답글 남기기